이북 함경남도 영흥 출신.
올해 87세. 부산 거주.
성은 김씨요. 이름은 행지.
깔끔하기로 소문난 여자.
보통 소학교 출신.
이상이 내 엄마의 간략한 소개다. 얼마전 호흡곤란으로 급히 실려 오다시피 서울로 상경, 곧바로 병원에
입원. 굳세게 그 나이에도 혼자서 버티더니 드디어 올 것이 왔다는 생각을 하였다. 폐와 심장에 물이 차서 호흡이 어려워졌다는 것이다.
심장 판막의 한 쪽이 말이 안들어서 이런 지경까지 온 것이다. 며칠간 이뇨제를 통해서 고인 물들을 몸 밖으로 빼내고 나니 말하기랑 숨쉬기가
수월해졌다.
엄청나도록 명료한 정신과 독야청청 주변의 시시한 것에 휩쓸리지 않으며 굶어 죽어도 남에게 아뭇소리 안하고 꼿꼿하게
앉아 있을 여자. 자식이 주는 용돈 고스란히 모아 되돌려 주는 고집장이 할머니. 아직도 양말이나 내의는 깁고 또 기워 사용해서 성철스님 저리가라
이다. 아들이 입다 찢어지거나 구멍난 런닝을 제복처럼 입고 있는 통에 젖꼭지는 맨날 바깥 구경이다.
서울역에서 엄마를 보는 순간 '호호 할머니' 라는 만화의 주인공이 생각났다. 작아졌다, 커졌다 하는 그 할머니역 중에 작아진
주인공 같았다. 어찌나 귀여운지 "엄마 너무 귀엽다"를 연발했다. 조글조글해진 곶감 같기도 했고 잘 익은 홍시의 예쁜 모습을 보는 듯
했다.
퇴원을 앞두고 혼자 지내기엔 도저히 불가능해서 우리집에 모시기로 했지만 낮에 빈 집이라 마음이 영 불안했다.
노인들이란 항상 조심하지 않으면 언제 어떤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이다. 가정부나 간병인을 두는 문제랑 겹쳐서 요양원(실버타운)이 좋은
대안으로 떠올랐다. 주변에 몇 사람의 부모가 그런 곳에 가있는지라 익히 내용을 알고 있었다. 돈이 문제지 편하기 이를데 없는 곳이
많았다.
"엄마, 요양원이라는 곳이 편하고 좋다는데 ..외롭지도 않고 의사나 간호사도 있대. 어째? 가 있어 볼래요?"
대답이 없었다.
" 있다가 데리고 오면 다들 다시 가고 싶어 한다는데."
"가라면 가야지 어쩌겠니?"
"그래? 잘 생각했어. 낮에 텅 빈 집에 불안하고 외로울 건데 그러자. 내가 적당한 곳 알아볼께."
어째 일이 잘 풀리니다 싶었다.그러더니 다음날 울면서 그런데 가기 싫다는 거였다.
"어쩌면 네 입에서 그런 소릴하니? 너무 야속하다"
하시는 거였다. 나는 당황을 했다. 인식을 하는 게 완전히 우리 세대와는 달랐다.
"엄마 그래, 가기 싫으면 가지마. 안가도 돼."
그제서야 안심하는 눈치였다.
노인문제는 심각하다. 실버세대의 급격한 팽창으로 인해 우리 사회는 역삼각형 모양의 구조를 띄게 되었다. 65세
이상을 노인으로 추정할 때 우리나라 총 인구의 5% 약 이백만이라 한다. 그것도 몇 년 뒤엔 삼백만, 사백만으로 늘어난다는
것이다. 선진국들도 노인문제로 골머리를 앓는다 한다. 언젠가 우리도 노인이 된다. 누구나 다 늙어간다.
엄마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우울증 증세가 조금씩 나타나서 별일 아닌 것에도 많이 섭섭해하고 화를 내거나 서러워한다. 자기만
소외 당하는 느낌이 자주 드는 모양이었다. 융통성도 없어지고 옹고집은 갈수록 더 세어진다. 그닥 무의미한 이야기에도 눈물을 흘리며 감동하거나
슬퍼한다. 라면 상자 하나라도 안보이면 찾는다. 낯익은 것들에서 편안함을 느끼는 모양이다.
노인들은 자체적으로 자기 통제가 불가능하다고 한다. 게다가 귀도 잘 안들리지만 이해력의 완전장애를 겪는단다. 그 결과로는
치매현상이 있을 수 있겠다. 특이한 것은 우리 김여사께서는 의식하나 만큼은 명료하다는 의사의 소견이 나왔다. 지금도 나보다 더 많은 것을 알고
있으며 집안 구석구석까지도 세세하게 다 안다. 무슨 물건이 어디 놓여 있는지는 천재수준이다. 사회적인 문제도 모르는 게 없다. 요즘 세간의
이목이 집중되어 있는 줄기세포 사건도 다 알고 있다.
육남매중에 다른 자식 다 놔두고 어찌 나랑 인연이 더 깊어 같이 살아야 하는지 늦둥인 하나 잘 둔 것같다. 식구가 많아도
다양한 삶들을 사느라 각자 자기 몫 다하기 힘들다. 올케들도 다 바빠 시어머니는 안중에도 없다. 단 한 번도 섭섭함을 내색않던 그녀가
요즘은 슬슬 속마음을 드러내는 것같아 보인다. 남의 자식 데려와 어디 성에 찰까만은 사위나 며느리나 다 데면데면하게 구니 영
마뜩찮은 모양이다.
그간 일이년씩 와서 머물다 가는 적도 많았지만 이제 노인 문제는 내게 현실적으로 닥쳤다. 낙천적인
성격이라지만 가끔 짜증날까 두렵다. 푸념을 아무데서나 하게 되지 않을까 걱정이다. 죽을 때까지 같이 살자고 큰 소리는 쳤다. 애도
셋이나 키우지 일까지 하는데 염려가 이만 저만 아니다. 제발 깨끗하게 살다가 고통스럽지 않게 가는 것이 나의 엄마에 대한 소원이다.
호호 할머니 우리엄마, 어릴땐 비오는 날 우산 가져오는 것도 창피했다. 나이가 워낙 차이가 나서 괜스레
부끄러웠다. 병원을 가도 항상 할머니 모시고 왔냐는 사람이 대부분이다. 이제 다 쪼그라들어 한 줌밖에 안되는 몸이 되었다. 갈수록
작아지는 모양이 애처롭다. 날개 잃은 새같기도 하다. 아직도 쪽을 진 머리에 동백기름을 바르며 긴 머리를 아침마다 빗는 여자.
바로 그녀가 어린 자식 넷을 앞세우고 1.4 후퇴 때 남으로 이미 와있던 아버지를 찾아 오던 억척스런
사람이다. 언강을 걸어서 건너며 "누구야, 누구야" 이름을 계속 확인하느라 목이 쉰 여자다. 다시 못볼지도 모르는 금강산이라며 꼭
눈에 넣어 두라며 뒤돌아 보고 또 돌아보게 하던 엄마였단다. 그래서 같이 내려온 자식들과는 더 살갑게 군다.
꿈에 그리는 고향땅을 밟아 보지도 못한 한을 가슴에 품고서 이제 세상 하직하게 됐다고 서러워 하신다. 산을 바라보면 저기 저런
곳에 내가 묻히겠지 하며 말 끝을 흐린다. 시간만 나면 기억을 더듬어 옛날을 이야기하는 울엄마, 제일 좋아하는 노래는 나훈아의
'녹슬은 기찻길'이다. 내가 어릴 때 엄마가 방을 닦으며 혼자 부르던 유행가이다.
절약정신의 결정체, 환경보호의 산증인, 신문 네귀퉁이를 일미리도 어긋나지 않게 접어서 몇십년을 보관하는 절대적 알뜰함.
아침마다 안경도 없이 신문을 사설까지 죄다 읽어 버리는 막강한 똑순이. 이제 그런 그녀도 인생의 막바지에서 의탁하러 막내에게 온 것이다.
어디까지 내가 잘 모시고 갈지 의문이지만 굳세게 밀어 부쳐볼랍니다. 화이팅.
호호 할머니.아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