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919 |
소치 허유 타계(1893), 허백련(1891 진도) · 김홍식(1897 여수) · 손재형(1903 진도) · 오지호(1905 화순) · 정운면(1906 담양) · 허행면(1906) · 허건(1907 진도) · 장덕(1910) · 신방우(1912) · 허규(1913) · 김한영(1914 장성) · 김환기(1914 신안) · 김정현(1915 영암) · 윤재우(1917) · 양수아(1919 보성) 출생, 허백련 상경 후 기호학교 입학 · 서화미술원 출입(1911), 허백련 도일 · 동경 立命館대학 입학(1915) · 小室翠雲 사사(1917) |
갑오경장(1894),신교육령 발표 도화과 분리(1895),외국인작품전(1905),한일합방(1910), 경성서화미술원 개설(1911), 서화연구회(1915) · 서화협회(1918) · 고려화회(1919) 발족, 고희동 동경미술학교 양화과 첫 졸업(1915) |
1920 |
허림(진도) · 양수아(보성) · 배동신 출생, 허백련 귀국전(목포공회당) |
김복진 동경미술학교 조각과 입학 |
1921 |
강용운(화순) · 조복순(화순) · 임직순(괴산) 출생 |
제1회 서화협회전, 나혜석 유화개인전(서울) |
1922 |
조방원(진도) · 안동숙(함평) · 천경자(광주) 출생, 김홍식 도일, 허백련 · 「선전」 · 2등상 · 개인전(보성고보) |
제1회 조선미술전람회(총독부), 토월회 결성 |
1923 |
오지호 고려미술회 수업, 허백련 · 「선전」 · 3등상 |
관동대진재,토월미술회·고려미술회·同硯社 결성 |
1924 |
손동 출생, 김홍식 동경미술학교 양화과 입학(~`28), 허백련후원회 발기 · 개인전(광주) |
김복진 동경미술학교 조각과 졸업 |
1925 |
최용갑 출생 |
서울YMCA청년학관 미술과 강좌개설, 프롤레타리아예술동맹 결성 |
1926 |
김영중(장성)·양인옥(제주)·김수호(목포) 출생, 오지호 동경미술학교 양화과 입학(~`31), 변관식 광주체류(~4년)중 정운면 사사 |
6.10만세운동 |
1927 |
김흥남·김영태·김옥진 출생 |
|
1928 |
오지호 綠鄕會 창립, 박근호 동경미술학교 양화과 입학(~`32), 김환기 도일 |
|
1929 |
김형수(해남)·곽남배·박남재 출생, 김두제 동경미술학교 양화과 입학(~`33), 허백련 북경여행 |
광주학생운동, 제1회 綠鄕會 공모전, 조선남화협회 창립 |
1930 |
국용현·오승우·이상재·임병성 출생, 허건 부친 미산에게 화업·「선전」출품 시작 |
조선독립군 조직 |
1931 |
오지호 졸업 귀국 후 화순체류(~`32) |
만주사변 |
1932 |
오우선·이창주·김암기·진양욱 출생, 정운면 「선전」 출품 시작 |
「선전」 書·四君子部 대신 공예부 신설 |
1933 |
곽권옥·신영복·임막임 출생, 김환기 일본대학 미술학부 입학(~`36) |
|
1934 |
조규일·허의득 출생(보성), 김환기 일본에서 아카데미아방가르드 결성 |
동앙일보 주최 조선·중국 명작고서화전 |
1935 |
이우진·박행보(진도)·박철교·정영렬(광주) 출생, 오지호 송도고보 교편(~10년)·점수에서 지호로 개명, 허민 「선전」 출품 |
이당문하생 後素會 창립 |
1936 |
강지주·김길성·김용근·임승택 출생, 김환기 개인전(동경 銀座), 허백련 조선미술원 결성 참여, 안동숙 김은호에게 사사 |
동아일보 일장기말소사건, 「협전」 15회로 중단, 조선미술원 개원, 제1회 後素會展 |
1937 |
나종표·박문수·김병고·박상섭·최종섭 출생, 미산 허형 타계 |
중일전쟁 |
1938 |
김신석·문장호·김대양·박석규·방의결 출생, 오지호·김주경 2인화집 발간, 허백련 광주정착·鍊眞會 발족 |
국민정신총동원조선연맹·애국반 결성 |
1939 |
강길원·김재형·김준호·양영남·오승윤·유근홍·임병기 출생, 서울YMCA청년학관 미술과 강좌개설(1925), 강용운 동경제국미술학교·배동신 양수아 川端畵學校·백영수 백홍기 태평양미술학교 입학, 문원 도일, 제1회 연진회원전·연진회관 개소 |
경복궁미술관 준공, 국민징용령 실시, 김복진 속리산 미륵대불 시멘트상 착수 |
1940 |
김종수·김진열·명창준·송용·이상호·장지환·정승주·홍진삼 출생, 김환기 개인전(서울 丁字屋), 고화흠 녹음사화학교·김동수 문동식 태평양미술학교·김수호 일본미술연구소·양인옥 일본미술학교·윤재우 오사카미술학교·김정현 川端畵學校 입학, 천병근 도일, 제2회 연진회원전, 허백련 조선미술관 十名家山水風景畵展 |
聖戰美術展,임시정부 조선광복군 조직 |
1941 |
강숙자·강연균·김종일·손장섭·서봉한·황영성·양두환·이태길·허문 출생 |
일본군 진주만기습·태평양전쟁 발발, 총독부 산하 조선미술협회 발족 |
1942 |
김인규 태평양미술학교·신재호 천단화학교 입학, 허백련·정운면(광주 상업은행) 개인전, 김형수 노수현에게 사사 |
제1회 半島銃後美術展(~`44), 제1회 조선남화연맹전, 창씨개명 |
1943 |
김영자 上野미술전문대학 졸업 |
제2회 총후미술전 |
1944 |
허림 타계, 손동 천단화학교 입학, 천경자 동경여자미술전문학교 졸업, 박승구 동경미술학교 조각과 졸업, 김영중 광주농고 조각부 활동, 허건 「제23회 선전」 최고상 |
「선전」 23회로 중단, 決戰美術展, 여자정신대근무령 |
1945 |
오지호 허백련 조선미술건설본부 중앙위원·김환기 진환 허건 정운면 참여, 목포미술동맹 결성, 허백련 무등산자락 三愛學院·春雪軒 개소, 조방원 허건에게 사사(~5년), 동서양화합동미술전(중앙국교강당) |
8.15해방,조선미술건설본부·조선프롤레타리아미술동맹·조선미술가협회 결성, 이화여대 개교(미술과 개설) |
1946 |
목포미술원 발족·창립전, 제1회 녹영회원전(목포여중, 백영수 누드작품 논란), 배동신 광주 첫 개인전(광주도서관), 오지호 독립미술협회·조선미술가 동맹 참여, 허건 南畵硏究院 개소(목포), 김환기 서울대 교수, 김보현 조선대 미술과 교수 |
북조선노동당 결성, 조선미술가동맹·조선조형예술동맹·독립미술협회 결성, 제1회 조선미술동맹전,조선대학교·서울대학교 개교(미술과 개설) |
1947 |
김환기 신사실파 결성, 黃牛會展, 김보현 윤재우 등 광주미술연구회 발족, 새교육전람회, 제1회 조선미술동맹 광주지부전, 백영수·오지호 개인전, 허백련 농업기술고등학교 설립, 김옥진 허백련에게 사사 |
조선미술동맹·조선미술문화협회·신사실파 발족·창립전, 앙데팡당전, 광주미국공보원 개원 |
1948 |
정운면 타계, 오지호 조선대 교수(~`58), 오지호 김보현 양수아 개인전(광주), 강용운 김보현 오지호 허백련 등 동킹맨초대전 함께 출품(광주미공보원), 양수아 목포 교편, 깁보현 천경자 개인전(광주), 김영중 서울대 미술학부 입학 |
제주4.3사건, 여순사건, 김일성 북조선 수상추대, 대한민국 정부수립, 조선미술가협회 대한미술가협회로 개칭 |
1949 |
전국최초 전국학생미술공모전(일본대학 동창회 주최·중앙국교 강당,정영렬 최고상, ~`56), 김영태·이강희 조선대 미술과 전문부 졸업, 강용운 광주사범학교 교편, 「제1회 국전」 허백련 추천작가·김환기 손재형 심사·박승구 문교부장관상 |
반민특위, 김구 암살, 농지개혁, 광주부에서 광주시로 변경, 제1회 대한미국미술전람회(국전), 홍익대학교 개교(미술과 개설) |
1950 |
김환기 등 50년미술협회 결성(서울), 강용운 개인전·종군화가단 결성, 허백련 개인전(부산), 허건 남종회화사 집필, 안동숙 서울대 졸업, 김영중 피난중 진도중 미술교사, 박승구 월북 |
6.25한국전쟁, 인민군 광주점령(7.23) 50년미술협회 결성 |
1951 |
종군화가단전(미공보원), 제1회 조선대미술과전람회·김영태 미술과 1회 졸업, 허백련 회갑 의도인 호, 이상재 허백련에게 사사 |
지리산 공비 토벌작전, 정훈국 소속 종군화가단 결성, 戰時美術展(부산) |
1952 |
김환기 서울대애서 홍익대로 전직, 천경자 개인전(부산), 차근호 상무대 을지문덕장군동상 제작(김찬식 김순득 박제수 탁연하 등 참여) |
월남미술인전(부산),조선대학교 초급대 예술과 폐과 |
1953 |
오지호 화순에서 무등산 지산동 이사, 양수아 개인전(목포), 허백련 개인전(광주), 김환기 제3회 신사실파전(부산), 김영중 홍익대 편입 |
제1차통화개혁, 7.27휴전협정, 정부환도,현대미술작가초대전(국립박물관) |
1954 |
김환기(서울) 강용운(광주) 김영자(목포) 개인전, 앙리 마티스의 밤(목포), 허백련 「국전」 심사위원(~`65), 천경자 홍익대 교수(~`73), 조선대학교 미술과 주최 전국학생미술공모전, 제1회 전남학생미술전람회(목포), 오지호 원효사 불화 제작, 김찬식 국내 첫 조각개인전(광주미공보원) |
사사오입 헌법개정, 대한민국 학·예술원 개원, 동양화낙선자전람회(화신화랑), 한국현대회화특별전(국립박물관) |
1955 |
김보현 도미, 방근택(광주미공보원) 임직순(동화화랑) 개인전, 장용운 양수아 김인규 3인전(미공보원), 탁연하 홍대 편입학, 허백련 허건 「국전」 초대작가, 조방원 문교부장관상 |
대한미협과 별도로 한국미술가협회 결성, 「제4회 국전」부터 초대 추천작가제 분리 |
1956 |
김환기 도불전(동화)·개인전(파리), 오지호 「국전」 초대작가, 양수아 곽옥남 부부전(목포), 강용운 광주사범대학·양수아 광주사범학교 전직, 오승우 조선대 졸업, 김영중 홍익대 조각과 졸업, 임직순 「국전」문공부장관상·한국수채화협회 창립참여 |
제1회 호남예술제(전남일보사 주최), 한국미협 국전보이코트사건, 반국전선언, 미술지 新美術 창간, 조선대학교 미술학과 대학원 신설 |
1957 |
김환기 개인전(니스 등), 김보현 도미·오지호 조선대 미술과 교수(~`60), 박행남 강용운 천경자 개인전, 임직순 「국전」 대통령상, 허백련 동양미술전 출품(샌프란시스코), 허건 천경자 제1회 白陽會展(서울), 탁연하 홍익대 조각과 졸업, 엄태정 서울대 조각과 입학 |
창작미협·모던아트협회·현대미협·신조형파 등 발족 및 창립전, 조선일보 주최 현대작가초대전(~`68), 미국현대작가8인전(국립박물관) 등 앵포르멜 전위미술운동 |
1958 |
강동문 김수호 양인옥 3인전(목포), 十代展(목포), 목포양화가협회 창립, 오지호 허행면 개인전, 강용운 조선일보 현대작가초대전 출품(~`69), 전남일보 주최 제1회 초대작가미술전, 김영중 「국전」 문공부장관상 |
한국판화가협회·木友會 창립, 新紀會, 목포문화협회 결성(허건 초대회장) |
1959 |
김환기 귀국 개인전, 오지호 『자유문학』에 ‘구상회화 선언’, 허백련 개인전(뉴욕), 천경자 개인전(부산),정영렬 조선일보 현대작가초대전 출품(~`86), 목포미협 창립, 목포문화협회·목포양화가협회 합동전, 탁연하 광주공원 어린이헌장탑 제작, 조방원 「국전」 추천작가·김환기 심사 |
사라호태풍 강타, 보안법 반대데모 전국확산, 북송선 1진 일본출항 |
1960 |
오지호 강용운 추상회화 지상논쟁(전남일보), 오지호 조선대 사직, 제5회 십대전 후 네오라르 개칭, 허백련 대한민국예술원 회원·개인전, 허건 「국전」 심사·김명제 문교부장관상, 박행보 허백련에게 사사 |
4.19학생의거, 60년미술가협회(덕수궁벽)·벽동인전(정동고개) 반국전 가두전, 현대미협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건립 모금전 |
1961 |
오지호 투옥(~`62), 임직순 조선대 교수, 조선대 미술과주최 제1회 전국학생미술실기대회, 네오라르 ‘회화의 밤’(목포), 청자학생미술회 창립(광주 고교생 모임), 조제현 조각개인전(광주미공보원), 탁연하 광주공원 4.19 학생의거기념탑·충혼탑제작, 김옥진 천경자 「국전」 추천작가 |
5.16군사혁명, 앙가쥬망 창립, 대한미술협회·한국미술가협회 통합 한국미술협회 발족, 현대미협·60년미협 연립전 |
1962 |
김환기 개인전, 강용운 광주교육대 전직, 조선대 미술과 전쟁기록화전, 강용운 등 전남미술가협회 결성·창립전(Y살롱), 5.16혁명기념전, 강연균 오승윤 등 羅友會 창립, 양수아화실 개설, 김옥진 천경자 靑土會 창립, 허백련 문화훈장, 안동숙 제11회 「국전」 문교부장관상 |
서력기원 사용, 제1차경제개발5개년계획, 제2차 통화개혁, 현대미협·60년미협 악�엘로 재결성, 전남예총 전남미협 발족 |
1963 |
임직순 천경자 「국전」심사, 황영성 최종섭 창작동인회 창립전, 네오라르 제8회전 후 해체, 김영중 原形彫刻會·엄태정 駱友會 창립참여(서울), 조제현 조선대 미술과 교수 |
오리진 창립전 |
1964 |
허행면 타계, 박양선 조선대 여자초급대 재직(~`78), 최종섭 명창준 박상섭 비구상3인전, 김종일 등 현대작가Epoque창립, 양인옥 등 野牛會 창립, 창자동인전 2회전후 해체, 탁연하 등 재광 홍미회 창립, 엄태정 서울대 조각과 졸업, 신영복 「국전」 추천작가, 장찬홍 허백련에게 사사 |
한일회담반대운동·서울 비상계엄 선포, 악띠엘 2회전 후 해체, 계간미술 창간·1호발간 후 중단, 광주시립막물관 개관(광주공원) |
1965 |
천경자·오승우(신문회관)·김옥진(공보관) 개인전, 정영렬 파리청년작가비엔날레 출품, 제1회 홍미회전, 「제1회 全南道展」(광주시립미술관)·김흥남 최고상, 양인옥 「국전」 국무총리상·안동숙 추천작가, 문장호 三希畵室 개설 |
월남파병 개시, 신작가협회·논꼴 창립전 |
1966 |
김홍식 허행면 타계, 전남미협회관 개관을 위한 기금마련전(금강다방), 임직순 전남미협 3대 회장, 양인옥 「국전」 문교부장관상, 허백련 개인전(신세계)·김옥진(공보관) 개인전, 허백련 예술원상, 탁연하 목포유달공원 어린이헌장탑 제작, 제2회 「도전」 조제현 최고상 |
중국 문화대혁명, 한국회회 창립전 |
1967 |
야우회(3회) 청자회(7회) 해체, 김용복 등 여수미협 창립, 광주일요화가회 창립, 탁연하 여수수정공원 충무공동상 제작, 「국전」 엄태정 국무총리상·문장호 문교부장관상, 양두환 「도전」 최고상 |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 준공·전시관 개관, 구상회 창립, 청년작가 연립전(헤프닝 발표) |
1968 |
배동신 진양욱 등 수채화창작가협회 창립, 임직순(신세계)·김형수 개인전, 제1회 일요화가회전, 탁연하 나주공원 김천일장군상 제작, 「국전」 서희환 대통령상·김행신 문공부장관상, 오승윤 「도전」 최고상 |
선일보 현대작가초대전 12회로 중단, 「국전」 문교부에서 문공부 이관,국민교육헌장 선포, 「道展」 전시관 학생회관 이전 |
1969 |
허백련 단군신전건립추진위원회 결성·기금마련전(서울), 천경자 안동숙 상파울로비엔날레 출품, 제1회 수채화창작가가협회전, 제1회 조선대 미술과 동창회전, 천경자 도불전, 임직순(신세계)·허백련 개인전(조흥은행), 김흥남 전남미협 5대 회장·전남미협 한국미협 지부가입, 전남미협내 조각분과 개설, 「국전」 조방원 심사·임직순 오승우 천경자 초대작가, 여수미협 창립 |
3선개헌 반대운동, 경복궁 현대미술관 개관, 한국아방가르드협회(AG)창립, 제18회 국전 광주전, 조선대 미술과 사대 미교과로 변경 |
1970 |
김환기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 대상, 강동문 배동신 오지호 등 靑土會 창립전, 미로화랑 개관전(목포), 허건 대한민국문화예술상, 오지호·오승우·김옥진(신문회관)·박양선(Y살롱) 조제현(우성다실) 개인전, 임직순 허건 김옥진 안동숙 천경자 「국전」심사, 조방원 초대작가 |
새마을운동 시작, 경부고속도로 개통, 7.4남북공동성명, 한국일보 주최 제1회 한국미술대상전, 제1회서울국제판화비엔날레 |
1971 |
강용운(Y살롱)·양수아(국립공보관)·김환기 (신세계) 개인전, 삼희화실 문하생 樹墨會 창립전, 고정수 제2회 한국미술대상전 특별상, 엄태정 인도트리엔날레 출품, 허백련 서울신문사 동양화6대가전, 여운 S.T창립전, 「국전」 안동숙 김옥진 초대작가·엄태정 추천작가·양두환 문공부장관상, 여수미협 한국미협지부 인준, 순천미협창립 |
국가비상사태 선언, 백제무령왕릉 발굴, S.T창립전 |
1972 |
양수아 타계, 임직순 개인전(신문회관), 사범대 동문 師美會 창립, 엄태정 철조비구상 개인전(광주상공회의소), 국용현 등 조대미술연구회 발족, 조제현 제3회 개인전·조선대 사직·양두환이 후임, 오승우 5.16민족문화상, 오승우 임직순 천경자 월남기록화전(국립현대), 탁연하 상무대 충무공·강감찬·송희립·정웅장군 동상 제작, 「국전」 양두환 문공부장관상·신명복 김명제 초대작가 |
10월유신, 유신헌법공포, 남북적십자회담,독일현대미술전·한국근대미술60년전(국립현대미술관),제1회 한일미술교류전, 에스프리 창립전 |
1973 |
오지호 국민훈장 모란장·근작전(현대화랑),임직순개인전(프), 양인옥 목포교육대 교수, 최종섭 김종일 등 에포크회- 김구림 박서보 정영렬 등 초대 창립10주년전(광주상공회의소), 제1회 조대미술연구회전, 청토회 黃土會로 개명 전시(순천), 제23회 목우회 광주전, 동아일보 주최 의재 허백련 회고전(서울 신문회관), 제6회 전남미협전·문예중흥선언, 탁연하 상무대 김덕령장군동상·양두환 31사단 충무공동상 제작, 「국전」 김명제 천경자 안동숙 심사·황영성 박행보 문교부장관상 |
김대중 동경납치사건, 국립현대미술관 경복궁에서 덕수궁 이전, 유신반대운동, 제3그룹·여류화가회창립전·무한대그룹 창립전 |
1974 |
김환기 양두환 타계, 임직순(현대화랑)·김정현(고옥당),고정수 조선대 교수, 오지호 도불기념 회고전(Y살롱), 허백련 전남대 명예철학박사, 인상파100주년 기념 순회전(광주 학생회관), 에포크 초대전(명동화랑), 전남북 구상작가 全木會 창립, 제1회 지방작가초대전(문예진흥원, 강용운 김영태 양인옥 등 11명), 탁연하 목포유달공원 충무공동상 제작, 「국전」 오승우 김명제 안동숙 조방원 심사·박행보 국무총리상·배동환 문공부장관상, 「도전」 박선희 최고상 |
긴급조치1~4호 발표, 육영수여사 피격, 서울지하철 개통, 땅굴발견, 문예진흥원 예술인 등록·제1회 지방작가초대전, 인상파100주년기념전(국립현대),「국전」 봄·가을, 구상·비구상 분리, 시공회·한국미술청년작가회한국여류조각가회 창립, 전남대 사대 미교과 신설 |
1975 |
김환기 회고전(국립현대), 최쌍중 개인전(미술회관), 김재형 김종수 등 조대 13회 동창 心友會 ·진원장 등 23회 동창 74전·박철우 조진호 등 사다리·라뚜르 등 창립, 師美會창립전, 전매초대작가전(학생회관), 나주미협창립전(나주 초원다실), 정영렬 제7회 카뉴국제회화제 커미셔너, 「국전」 천경자 심사·김영중 추천작가, 「도전」 박상섭 최고상 |
유신찬반투표, 긴급조치 9호 발표, 학도호국단 발단식, 「제24회 국전」 광주전 |
1976 |
김정현 타계, 오지호 천경자 예술원 회원, 허건(통인)·김옥진(신세계)·여운(서울화랑)·배동신(희화랑) 개인전, 한국신미술회전(전일미술관), 전남매일 주최 호남대표작가 58인초대전(학생회관),제1회 사다리전, 일고동문 일전 창립전, 제1회 조대미술과동창회전, 제1회 전대미전, 에포크 주관 제1회 광주현대미술제, 陸人會 창립, 鍊眞會 재결성 및 제23회전, 허백련 허건 조방원 김옥진 등 13인 한국현대동양화대전 초대출품, 전목회 全友會로 개명, 김행신 전대 미교과 교수, 「국전」 오승우 임직순 신영복 엄태정 심사·엄태정 초대작가·정영렬 추천작가·강관욱 국무총리상·오승윤 문공부장관상, 「도전」 조판동 최고상 |
김대중 윤보선 함석헌 민주구국선언(명동성당),신안해저유물 발견·인양 개시, 판문점 도끼만행사건, 영산강유역개발사업 1단계 착수, 「국전」 공개심사제도 도입, 중앙일보사 계간미술 창간, 조선일보사 프랑스인상파전, 제1회 공간미술대상전, 한국현대동양화대전(국립현대미술관) |
1977 |
허백련 타계, 허건 5.16민족문화상, 오지호 예술원상·일가전(광주학생회관), 김환기 유작전(동경화랑), 진양욱 펜실베니아대 교환교수(~`78),허건(신세계)·김형수(신문회관)·임직순(현대)·배동환 도불전(현대)·박동인(그로리치)·김종일(견지화랑)·최종섭(전일)·명창준(사모아) 개인전, 조선대 26회 동창 綠地會 창립전, 고정수 김행신 한국구상조각회 창립참여, 제10회 전남미협전, 현대화랑 개관(광주 첫 상업화랑), 광주현대미술제(전일미술관), 「국전」 이태길 문공부장관상·오승윤 윤재우 양인옥 문장호 추천작가, 전남매일 주최 제1회 전매미술대상전(동양화 서양화 서예 부문, 광주학생회관)·최영훈 대상, 노의웅 「도전」 최고상 |
윤보선 지학순 민주구국헌장 발표, 수출100억불 달성, 이리역 폭발사고, 제1회 전국대학미전(국립현대미술관), 한국현대서양화대전(국립현대미술관), 중국역대명화전(간송) |
1978 |
허건 예술원상, 전남미협 광주미협으로 개칭·윤주은 9대 회장·전남예술회관건립기금마련전(신문회관), 제1회 전대 미교과 동문전, 전남일보 주최 제1회 무등미술제, 강연균 등 無等會 창립전, 청년작가 5인전·대표작가 5인전·서양화 중진작가 5인전(광주 현대화랑), 광주박물관 기공기념 100인초대전, 연진미술원 개원(초급·전문부, 초대원장 구철우), 문옥자 정윤태 김철수 등 남도조각회 창립, 김옥진 안동숙 「국전」 심사, 진원장 「도전」 최고상 |
「제27회 국전」 대전전 중 58점 도난, 제1회 중앙미술대전(중앙일보사 주최-배동신 초대), 제1회 동아미술제(동아일보사), 한국현대미술20년의 동향전(국립현대미술관-강용운 초대), 조선일보사 프랑스후기인상파전, 국립광주박물관 기공 |
1979 |
양인옥 홍순모 목포대 교수, 김용복 등 2000년작가회·곽남배 등 白美會·홍성담 등 광주자유미술인협의회 창립, 제2기 에포크전, 황영성 우제길 한국미술 오늘의 방법전(문예진흥원), 이창주 개인전(서울 조선일보 후원),고정수 등 13인 제1회 남도조각회전, 조판동 등 5인 한국구상조각회 가입, 「국전」 김옥진 초대작가상·정영렬 초대작가·고정수 문공부장관상, 제2회 전매미술대상전 국중효 대상, 천경자 예술원상 |
Y.H무역사건, 부마사태, 10.26사태(박정희대통령피격), 신군부12·12쿠테타, 현실과 발언 결성, 목포대학교 미술과 신설 |
1980 |
조판동 조대 미술과 전임·타계, 남도예술회관건립기념전, 임직순 황영성 한국서양화6인전(뉴욕 한국문화원), 진양욱 강연균 중앙미술대전 초대, 이강하 등 Form(南脈會) 창립, 김강수 등 청년미술동우회(靑同會) 창립전, 남농 허건 회고전(동아일보 주최)· 남농장학회 남농문화상 설립, 고정수 등 7인 한국구상조각회 로마전, 제1회 小雪軒회원전, 전대교수작품전, 제30회 조대 졸업미전, 김영중 한국미협 이사장, 진양욱 광주미협 10대 회장, 광주미협과 전남미협(유근홍 지부장) 분리, 「국전」 엄태정 심사·강관욱 황영성 추천작가 |
5.18광주민중항쟁,국보위 신설, 언론사 통폐합, 칼라TV방송 송출, 「국전」 문화공보부에서 문예진흥원으로 이관, 한국미술지방단체연립전(문예진흥원-무등회·전우회·남도조각회 참여), 현실과 발언전, 제1회 국제미니어처판화전(공간),남도예술회관 준공 |
1981 |
강용운 국민훈장 목련장, 박석규 등 森木會 창립, 송용 진양욱 황영성 한독미술가협회전(독일), 강연균 등 4인 한국의 자연전 초대(국립현대), 임직순 황영성 엄태정 제4회 중앙미술대전 초대, 무등회 以象會 합동전, 현실과발언 광주전, 1+2+3美展 창립전, 라틴아메리카미술전(아카데미), 전남소장 고서화특별전(국립광주박물관), 김옥진 김형수 조방원 등 15인 현대한국화협회 창립전 참여(세종문화회관), 고정수 문옥자 김행신 조각3인전, 고정수 김행신 홍순모 조각3인전,김영중 광주어린이대공원 상징탑 희망 제작, 「국전」 김영중 초대작가·고정수 대상 |
「국전」 제30회로 폐지,대한민국미술대전으로 민간이양, 진도 운림산방 일원 전남지방문화재 지정, 81문제작가전(서울미술관) |
1982 |
오지호 손재형 타계, 강관욱 전대 미교과 교수, 김혁정 정홍기 등 전대동문 新年大展 창립전, 場과 現實 창립전, 임막임 강숙자 등 13인 광주여류화가회 창립, 赫·에포크 합동전, 에포크 전용공간 玄山美術館 개관전, 목우회 전남지회전, 제7회 樹墨會展(세종문화화관), 허백련 허건 손재형 老大家回顧展(동아일보사), 조선대 제13회 전국대학미전 주관, 정영렬 동아미술제 심사, 우제길 최종섭 등 오늘의 작가 `82전(남경화랑 기획), 허건 조방원 이상재 등 중진작가10인전(아카데미 미술관), 목포 유달산 조각공원 개장·강관욱 등 전국 45인 출품, 운림산방 복원착공, 「도전」 정윤태 최고상 |
야간통행금지 해제, 프로야구 출범, 부산 미문화원 방화사건, 「국전」후신 제1회 대한민국미술대전, 두렁·임술년 창립 |
1983 |
송계일 강관욱 전남대 교수, 강연균 배동환 서양화구상7인초대전(롯데미술관), 에포크창립20주년 기념대전, 제1회 광주여류화가회전(남경화랑), 전남대 대학원동문 院美會 창립전, 강용운회화40년전(화니), 제1회 전남교육미술전람회(학생회관), 광주 부산 등 5개 미협참여 제1회 영호남미술전람회(남도예술회관), 전남여교수작품전(화니), 조선시대회화특별전(국립광주박물관), 雲林山房三代作家展(남도예술회관), 강관욱 등 전국 70인 한국구상조각회 광주전, 고정수조각개인전(남도), 최종섭 제1회 현산문화상 본상, 목포향토문화관 개관 |
KAL기 폭파사건, 버마 아웅산폭파사건, 제2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광주전(남도예술회관),광주·목포 시민미술학교 개설, 광주시립민속박물관 착공 |
1984 |
양인옥 호남대 미술과 교수, 현대미술단면전, 박석규 여운 진경우 조진호 홍성담 홍순모 등 해방40년의 역사전(아카데미미술관), 조선대 미술패 땅끝 결성, 양인옥 등 전남사생회 창립, 금호문화재단 개관기념전, 제10회 樹墨會展(전주), 호남한국화300년전(국립광주박물관), 김영중 등 구상조각10인초대전(운림가든 야외), 고정수 한국인체조각전(호암), 강관욱 `84한국조각야외전(뉴코리아 골프클럽), 제1회 광주교대 미술과 졸업작품전, 제1회 진도군미술대전 |
88올림픽고속도로 개통, 금호문화회관 개관(광주 동명동), 광주일보사 ≪월간예향≫ 창간, 해방40년의 역사전(광주 대구 부산 마산 서울) |
1985 |
오지호 유작 34점 국립현대미술관 기증, 문옥자 호남대·김창세 목포대 미술과 교수, 의재7주기추모 鍊友會展, 제3회 광주현대미술제, 김익모 등 광주현대판화가협회 창립전(화니), 다리·태산갤러리 개관전, 김경주 등 목판화전, 여류서양화가 9인 제1회 藝址展, 전남대 예대동문 미로붕 창립전, 제1회 전국무등미술대전, 호남한국화300년전(국립광주박물관), 전남대 예대동문 耕墨會 창립전, 현대한국화회 창립5주년기념 광주전, 제10회 樹墨會展(서울 백악미술관), 홍순모 3인의 시선전(한강미술관)·85문제작가전(서울미술관), 청동회 남도조각회 연립전, 강관욱(롯데)·홍순모 개인전(한강), 김영중 독립기념관 상징조형물 제작, 고정수 금호예술상, 김암기 남농예술문화상, 우제길 현산문화상 본상 |
남북고향방문단 교류, 한국미술20대의 힘전·민중미술탄압대책위원회·민족미술협의회·광주 시각매체연구소 창립, 남농기념관 준공(목포), 베르나르 뷔페 유화걸작전(광주 금호갤러리), 현대미술40년전(국립현대미술관), 제1회 전국무등미술대전(예총전남지부 주최) |
1986 |
가든·화니 미술관 개관기념 원로작가 초대전, 인재미술관 개관기념 서양화20인초대전, 김주성 등 광주사생회 창립전, 선과 색 광주전, 에포크 제2회 남부현대미술제 참가(부산), 명창준 등 광주 사범대 5회동창 五美會 창립전, 박철교 등 광주드로잉회 창립전, 정승주 등 5인 신작전300호전(서울 신문회관), 박봉화 등 물음전(여수), 時空會 광주전, 연진회전(주일 한국문화원), 황영성 우제길 김종일 한국현대미술 어제와 오늘전(국립현대), 김옥진 문장호 한국화100년전(호암), 홍순모 인간시대전·우리시대의 초상전(한강미술관), 전대예대 동문 흙조각회 창립전, 전대 미술패 불나비 결성, 조선대 조소과 신설·조대조각회 창립전, 정윤태 문옥자 제3조각회 창립전 김영중 독립기념관 강력한 한국인상 제작, 참여, 박상섭 광주미협 12대 지부장, 「도전」 박상호 대상 |
86서울아시안게임,국립현대미술관 과천 이전, 국립중앙박물관 구 조선총독부 건물로 이전, 광주직할시 승격, 「대한민국미술대전」 한국미협 주관으로 변경, 그림마당 민 개관, 신촌벽화·정릉벽화 훼철사건, 조선대 미대 조소과 신설, 광주문예회관 착공 |
1987 |
허건 정영렬 타계, 호남구상작가회(新形會) 창립전, 광주청년미술작가회 창립, 광주현대판화가회 주최 한국판화의 새로운 물결전(화니), 우리세대 창립전, 에포크 현대미술1000호대작전, 靑同會 心象會 연립전, 진양욱유작전(국립현대), 양수아유작전(현산), 우제길 이달의 작가전(국립현대), 여운 87문제작가전(서울미술관), 광주·요코하마 현대미술전(일본 가와가와현), 조선시대진경산수화전(국립광주), 박광식 등 조방원문하생 墨奴會 창립전, 80년대 한국채묵의 동향전(인재), 운림산방 三代展(롯데미술관), 의재10주기추모 연진회전, 문옥자 정윤태 등 제3조각회·Terra조각회 연립전(주일한국문화원), 김대길 전남대 미교과 교수, 김행신 해남 토말탑 제작, 희규미술관 준공(영암) |
4.13호헌반대운동·6월민주항쟁, 대통령직선제 등 6.29선언, 한국근대회화100년전(국립중앙박물관),조선시대진경산수화전(국립광주박물관), 광주시립민속박물관·목포 향토문화관 개관, 순천 종합문예회관 기공 |
1988 |
김한영 타계, 제5회 광주현대미술제-현대종이의 웨이브전, 광주·요코하마 현대미술전(인재),제4회 남부현대미술제(남도예술회관), 남봉미술관 개관기념 오지호회고전, 선과 색·神戶二紀會 한일합동전(남봉), Vision국제작가한국전(화니), 박봉화 등 土象展(여수), 국제소형판화전(인재), 보다나리 창립전, 송창 조진호 황재형 3인기행전(가든), 김경주 등 47인 광주전남미술인공동체 결성, 이창주 등 조선대 교수 학생 鮮墨會 창립전, 제1회 목포대동문전(인재), 김광옥 등 創墨會 창립전, 청암김영기중국기행전(남봉), 김대원 등 한국화7인전(화니), 墨緣會展, 農墨會展, 남봉미술관 개관·광주일보 창사36주년기념 동서양화20인초대전(남봉), 김인경 신현중 조선대 조각과 교수, 홍순모 88문제작가전(서울미술관), 김영중 우수영 명랑대첩 기념탑 기념조각 제작(해남), 김행신 88서울올림픽 광주조형탑(중외공원), 김영태 13대 광주미협지부장 |
지방자치제 부활, 서울올림픽 조각공원 개장, 88서울올림픽, 제7회 대한민국미술대전 광주순회전(남도예술회관), 제1회 광주직할시미술대전, 제1회 한국화특장대전(예총광주지부 주관) |
1989 |
구철우 타계, 제1회 광주전남미술인공동체 오월전, 광주청년미술작가회전, 조대부고 동문 朝高展·조대 동문 1982·표현 FIVE 창립전, 新紀會 광주전, K갤러리 개관기념 서양화12인초대전(광주),오늘의 지역작가전(금호), 오늘의 지역작가전(무등방), 민족해방운동사 거리전(금남로), 오월조각패 결성, 호남대동문 고리전·지나새나·PILOTIS전,광주아트페스티벌, 오늘의 광주전남작가70인초대전(무등방), 80년대의 형상미술전(금호), 오늘의 지역작가전(금호), 조방원 박행보 등 16인 제10회 현대한국화협회전 출품(롯대잠실미술관), 김옥진 김형수 문장호 등 9인 88현대미술초대전 출품(국립현대), 문옥자 정윤태 등 제3조각회전 출품(대만시립미술관), 김영중 김왕현 등 4인 춘천MBC주최 89한국현대조각초대전 출품(춘천MBC호반광장), 광주전남미술50년전(조선대미술관) |
소비에트연방 붕괴, 전국민족민주운동연합 결성, 전국교직원노동조합결성, 민족해방운동사 거리전, 조선대학교 미술관 개관 |
1990 |
제21회 황토회전(목포 예총화랑), 육인회전, 고리회전, 전남대 동문 죽림학회전·먹풀이전, 조선대 동문 제1회 가랑미술학회전·중국목판화가 장망초대전(가든), 에포크3세대전(현산), ~ing창립전, 수묵회전(동덕), 광미공 오월전 10일간의 항쟁 10년간의 역사전(금남로)·오월그림전(남봉)·일하는사람들전(궁동), 90목포청년미술제, 삼목회전(목포),여수청년작가전(여수), 가다귀·새로나기 창립전, 보다나리전, 푸른숲회원전, 디딤회전,목포대 동문 거루회원전(남봉), 순천미협20주년기념 90순천비엔날레, 광주목판화연구회전, 근현대한국화대가전(쌍인), 광주판화가협회전, 제2회 광주아트페스티발(조선대미술관), 오늘+삶 열린시각전(현산), 조선대 대학원동문 백악원 창립전, 제2회광주아트페스티벌(조대미술관), 장과 현실전(인재), 전통과 형상전(서울 청남),광주수묵미술인전(가든), 90시도미술대전수상작전(광주민속박물관), 김광옥 등 90한국화청년작가전(가든), 고근호 등 8인 21세기정신전 창립전, 조대조각회전(남봉), 제9회 남도조각회전, 제5회 영호남교류전(대구·광주), 제1회 한국화특장대전, 전남도전 지방순회전(여천 장흥 해남 진도 등), 광주화랑협회 발족, 광양제철 철강조각공원 조성 |
3당통합, 남북총리회담·예술단 교환, 한·소 정상회담, 독일통일, 이라크 쿠웨이트 침공·걸프전, 민족미술운동전국연합 결성,제4회 대한민국미술대전·제2회 대한민국서예대전 광주전(남도예술회관) |
1991 |
탈이미지회전(현산), 땅끝회원전(남도), 신형회전(남도), 죽림미술학회 전쟁과 인간전(남도), 민미협·광미공 연립전, 광주민족민중미술운동연합 결성, 1982전(인재), 호남농미회 창립전, 표지-126˚E,35˚N 창립전, 제7회 남부현대미술제(목포),전국청년미술제(목포·광주 조선대미술관), 우리세대전, 회오리 창립전, 풀이 창립전, 보다나리-해체와 전환전(인재), 전환시대의 표정전(남봉), 5.18위령탑건립 위한 작가초대전(세종문화회관), 오월전 오월에서 통일로(망월동), 작업실에서의 전시회(서동), 전남대 동문 91먹풀이-채묵의 신형상전, 광주청년작가회전(인재), 의재탄신100주년기념전(호암·남봉) 및 세미나(신양파크), 광미공 일하는사람들전(전주 온다라), 전국여성서화백일장대회, 13회 청동회전(무등), 제5회 신형회전, 황순칠 등 빛고을창립전(인재), 선후인전(남봉), 국추회초대전(남봉), 창묵회전(무등), 김용우 등 29인 호남조각회 창립전, 강소영 등 23인 8878전, 전남미협 재창립, 보성 백민미술관 착공, 아산문화재단 설립, 궁동갤러리·무등예술관, 광은미술관 개관, 오지호미술상 제정 |
이스라엘·아랍 중동평화회담, 지방자치제 기초·광역의원 선거, 남북한 U.N동시가입·남북화해 불가침 합의 |
1992 |
최종섭 타계, 신세대 표현전(인재), 제1회 오지호미술상기념 전국중진작가초대전(남봉), 중앙대 동문 南-황토전(금호), 장과현실전(궁동), 탈이미지전(궁동), 청년세대-부드러운 제안전(캠브리지), 광미연 민중·삶·투쟁전(인재), 광주청년미술작가회전(인재), 전남대 출신 8-1992(남도), 광미공 오월조각패 그싹은 열매되어전(궁동·그림마당 민), 광미공 오월전 더넓은 민중의 바다로(금남로), 남맥회전(남봉),선후인창립전(금호),광주일보창사40주년 기념 동서양화40인 초대전(남봉),동서작가80인초대전(남도예술회관), 건강한 예술정신전(가람), 오견규 등 중견·신진작가 초월전(남도), 표지-126˚E,35˚N(화니), 움직이는 미술관전(광주·순천·광양), 광주·요코하마 현대미술전, 현대미술-그 젊음의 진단전, 궁동갤러리 기획 동행의 표현전, 작업중 창립전(남도), 박문종 등 광주수묵미술인전, 김대원 등 92한국화남도청년작가전, 광주·전남-鹿兒島·宮崎 교류전, 박철우 등 민들레 피는 땅 전(그림마당 민·무등), 무등한·중 92한국화 동질성의 회복전(인재), 92한국화-남도청년작가전(남도), 樹墨會 창립20주년기념전(남도), 박행보 등 21명 광주전남문인화협회 결성, KBS영호남미술교류100인초대전(광주·대구), 강성구 등 12인 타래창립전, 이돈흥 14대 미협지부장,삼호갤러리·갤러리 아그배·가람 개관, 갤러리K 폐관 |
지방 첫 공립미술관 광주시립미술관 개관, 예술의 거리 개미시장 개장, 한국민족예술인총연합 결성(강연균 공동의장 피선), 화순 동복에 오지호기념관 부지마련, 박물관 및 미술관 진흥법 시행 |
1993 |
광미공 정기전 일하는사람들전(남도), 脫-이미지 설치전, 죽림미술학회 강운 이후 연 3회 오픈스튜디오, 빛고을전, 청년작가회 주관 제1회 광주미술제(광주 7개 화랑), 광미공 다섯번째 오월전 희망을 위하여, 젊은 정신의 예감전(인재), 무등회 15주년전, 국립현대미술관 소장품 순회전(광주시립), 전남대 재학생 어우러지기 창립전(남도),전남대 조소전공 동문전 창립전(남도), 강연균수채화30년전(광주시립), 임동희 등 7인 침몰직후 창립전, 에포크창립30주년기념 자연+인간 야외설치전(국립광주박물관), 광주 남맥회 대구 심상회 교류전(대구), 우제길 대전엑스포 패션 발표, 전위예술모임 노크 퍼포먼스축제(문예정터), 광미공 삶의 현장전(궁동), 김연자 야외조각전(옥과 성륜사), 남도4미청년미술제(남도) , 전남대 조선대 재학생 모주두 거리낙서화전(예술의 거리), 광주문예회관 야외조각공원 개장, 보성 백민미술관 개관, 무등예술관 동구청 직영제 전환, 광주미술상 추진위원회 결성, 광은미술관 광은아트스페이스 개명, 청록갤러리 개관, 재일교포 하정웅씨 소장품 100여점 광주시립미술관 기증, 임직순 제2회 오지호미술상, 제5회 한국화특장대전 |
우루과이 라운드 이행합의서 제출, 금융실명제, 대전엑스포,우리별2호 위성 발사, 뉴욕 크리스티사 한국미술품 92점 단독경매, 순천문예회관·여수 진남문예회관 개관, 전국체전 관련 광주시내 5개소 슈퍼그래픽, 화순 동복 오지호기념관 착공, |
1994 |
제9회 탈-이미지회 설치전(무등예술관), 김봉균 등 7인 휘모리창립전, 김종일 등 조대동문 라이브 창립전, 관음사증축기념 佛展(충장로), 94광주미술제, 광미공 남녘의 산하전, 목포유달산조각공원 작품교체, 고재근 등 그림파동전(남도), 박홍수 등 작업중전(궁동), 프랑스 오늘의 현대작가 10인전(광주시립), 전남북조각가협회전(조흥), 제50회 목포미협전(목포 예총화랑), 물 한방울과 흙 한줌 전(광주 지하상가), 민족미술인 50여명 남도사랑-희망전(목포MBC), 한국화 오늘의 현실전(목포MBC), 언더라인전(카톨릭), 한희원 등 사실정신전, 한국미술평론가협회 학술세미나(광주시립미술관),무등회20주년기념전(남도), 오늘의 빛과 색- 그 본질전(동광양시 금호), 한국성-그 변용과 가늠전(인재),프로필 60-72전(무등), 94아트데이타전(남봉), 제1회 전남민족미술제-바다와의 교감전(목포시민회관), 탈이미지 10주년 기념전(인재, 궁동), 제10회 사미회전, 현산미술관 예술의 거리 이전, 광주어린이대공원 팔각정 문예공방 개관, 제4회 곰두리미술대전(광주시립), 제10회 전국무등미술대전, 제30회 전남도전, 광주비엔날레 창설·광주비엔날레조직위원회 창립, 궁동미술제(예술의 거리), 국제비엔날레와 문화 지역주의 국제심포지엄(문예회관), 조선대 시민미술대학 개설, 김광훈 제2회 광주청년미술상 |
김일성 북한주석 사망, 성수대교 붕괴, 민중미술15주년기념전(국립현대), 민예총 광주지부 창립, 광미공·흥사단 광주지부 공동주최 겨울미술학교 개설(광주YMCA), 아-고구려전(광주시립미술관), 조흥문화관 개관( 충장로 조흥은행),동학농민혁명100주년기념전(전국 순회) |
1995 |
양수아 회고전(무등일보 갤러리), 박상호 조선대 조소과 교수, 강연균 등 광주미술상 기금마련전(인재) 및 광주미술상운영위원회 발족, 신세대 표현의지전(현산), 전국 30개대 출신 한국현대청년작가전(조선대미술관), 예술의 거리 간이전시대 설치, 김영삼 등 문인화모임 먹그림회 창립전(남도), 한국현대회화6인전(송원), 교사 수채화모임 南碧 창립전(무등), 영호남 민족미술교류 달구벌에서 빛고을로(남도), 95여수미술제(여수미협), 우제길회화40년전·우제길 이광희 야외회화패션쇼(광주시립), 김행신 등 8명 亞洲現代彫塑的對話展(대북시립), DMZ주제 생태환경보전을 위한 부채그림전·통일염원목판화전(쌍인), 전병식 등 4인 空·現實展-가상과 현실전(무등), 드로잉회 10주년전(조흥), 평면과 바디의 만남전(탑전), 광복50주년 기념 허백련 김홍식 오지호 양수아 등 50인 전남미술50년전(남도예술회관), 제5회 새벽전(조흥), 광주전남미술인공동체 제1회 광주미술상수상, 김영중 광주비엔날레 상징물 무지개다리 제작, 제1회 광주비엔날레(중외공원 일원), 95광주통일미술제(망월동 5.18묘지 일원), 정윤태 광주미협 지회장, 송원갤러리·백제갤러리·신세계 갤러리 개관 |
광역 지방자치제 본격시행, 광주직할시 광역시로 승격, 정부 95년을 ‘미술의 해’로 지정, 무궁화위성 발사, 삼풍백화점 붕괴, 노태우 전두환 대통령재임중 뇌물수수죄 수감, 95서울판화미술제(예술의전당),제10회화랑미술제특별전(예술의전당),설악국제비엔날레,제주프레비엔날레, 차범석 김영자 등 藝木會 창립(목포),광주시민예술대학 개강, 광주비엔날레관 신축, 한국전통산수화전(국립현대미술관, 조방원 등 지역 14인 초대)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