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이야기
변원섭 한국능률협회 호남본부장 대학취업률과 지자체 일자리정책 (전남일보)
소깐
2012. 9. 27. 09:28
대학 취업률과 지자체 일자리정책 |
입력시간 : 2012. 09.27. 00:00 |
|
정부 통계 자료에 의하면 우리지역 대학들의 취업률은 썩 높은 편은 아니다. 단순 취업률을 보면 우리지역에서 취업률 가장 높은 학교는 목포해양대, 목포 카톨릭대학이며 취업률이 낮은 대학은 전남대 등 국립대로 분류된다.
전문대학교는 보건계열 학교의 취업률이 높았고, 조선이공대학과 전남도립대는 최하위권이다. 더욱이 오랜 역사의 조선이공대학이 전문대 전국 평균 취업률에 현저히 미치지도 못하고 최근 교육당국의 평가에서 최하위권으로 분류된 것은 적지않은 충격이었다.
대체적으로 극심한 취업난을 반영하듯 졸업후 바로 취직할 수 있는 보건의료계열의 학과가 수치가 높은 것은 당연한 현상으로 여겨진다. 그리고 정부 발표에서 보듯 보건계열이 아니어도 변화된 사회흐름에 빨리 적응하면서 살아남기 위한 다양한 전투적 자세로 변화를 시도한 대학들의 취업률이 높았다.
그런데 국공립 대학은 특성상 교수와 직원들의 정년까지 보장돼서 그런 지 사립대보다 취업률이 낮았다. 이는 사립학교의 경우 취업이 바로 학생모집으로 연결되고, 학과 존폐와 연결돼 있어 학생들의 취업률 높이기에 더 적극적이지 않았겠느냐는 추론이 가능해진다. 그렇다. 정부의 취업률을 연계한 대학평가가 꼭 잘된 정책판단이라곤 할 수 없다. 실제 일부 대학은 취업률을 교육 당국에 허위로 보고해 징계를 당하거나 다양한 방법으로 제재를 당했다,
그럼에도 현재 4대보험 가입자 중심으로한 정부의 취업률 숫자 맞추기 정책은 개선돼야 한다. 4대보험중심의 숫자에 맞춘 취업률을 산출하다 보니 또 다른 맹점들이 확인되고 있어서다. 정부가 정말로 취업률로 인한 대학 평가에 앞서 양질의 일자리 창출에 대한 고민이 선행돼야 한다.
지자체도 특화된 특산물가공, 사회적 기업, 일자리공시제등 다양한 방법으로 일자리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지역 일자리 목표 공시제는 단체장이 임기 중 추진할 일자리 만들기 목표와 대책을 정해 발표하면, 중앙 정부는 그 대책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는 지역고용 활성화 방안이다. 현재 전국 224개 지방자치단체가 참여하고 있으며, 중앙정부는 이행 실적과 새로운 일자리 만들기 정책 중에서 모범적인 사례를 선정해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사실 전국 지자체의 일자리 담당부서는 하나의 일자리도 늘리기 위해 보이지않는 뜨거운 전쟁을 치르고 있다. 일자리 하나는 궁극적으로 인구 수백명을 늘이는 파급효과가 크기 때문이다.
그래서 필자는 일자리 창출과 관련해 한가지 제안을 할까 한다.
우선 대학과 지자체간 공동협의체를 구성해 필요한 인력을 양성해 공급하고, 도농지역에는 젊은이들이 부족한 현실을 채우는 노력을 해보았으면 한다.
물론 여기에는 젊은이들이 시골이나 중소기업에는 취업을 꺼리고 후생 복지문제 등을 우려해 기피하는 현실이기 때문에 필요한 예산을 정책적으로 대안을 세울 필요는 있을 것이다.
취업준비생들에게는 중소기업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마인드교육을, 정부나 해당 지자체는 대학들과 머리를 맞대고 광역정책을 발굴해 젊은이들에게 일자리 제공 기회를 만들었으면 한다.
또한 학부모들도 자녀들의 취업과 관련해 대기업 취업에 올인하게 할 것이 아니라 자신의 적성을 중시하는 취업에 임하는 분위기 조성등이 중요할 것같다.
변원섭 한국능률협회 호남본부장